고객센터 비회원주문조회
회원가입 자주묻는질문   주문조회   장바구니   마이페이지
X
개별택배비 상품입니다!
구매금액과 상관없이 수량별 택배비가 발생합니다!
약용/특용수
벌나무(산청목)
오가피나무(토종오갈피)
두릅나무 (두룹묘목)
옻나무 (참옻묘목)
오미자
고로쇠
비타민나무(산자나무)
토종오가피(민오가피)
토종 엄나무(엉개,개두릅)
가시없는엄나무(민엄나무)
황칠나무
구기자나무
슈퍼오디 나무
산초나무
칼슘나무묘목
느릅나무
슈퍼복분자(블랙베리)
꾸지뽕나무(꾸찌뽕묘목)
개복숭아(돌복숭아)
마가목 나무
가죽나무(참죽)
키움농원 고객센터
043)
732-5931
Fax. 043-733-5931
keewoom49@hanmail.net
상담시간(평일)
  - 오전 08:00 ~ 오후 08:00
일요일,공휴일 상담 환영
무통장입금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키움농원
농협)351-1195-5496-13
상품카테고리 :
구기자나무
마우스를 클릭하시면 원본이미지로 보실수 있습니다.
마우스를 클릭하시면 원본이미지로 보실수 있습니다.
마우스를 클릭하시면 원본이미지로 보실수 있습니다.
마우스를 클릭하시면 원본이미지로 보실수 있습니다.
마우스를 클릭하시면 원본이미지로 보실수 있습니다.
마우스를 클릭하시면 원본이미지로 보실수 있습니다.
구분 : >

개화기 : 8~10월 결실기 : 10~11월


식재거리 : 1.2m*0.4(평당 6주)


효능  : 향균및 항암효과를 지녀 한약재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있다.
 약재및 차재료로 사용되며 쓰임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어 재배시 전망이 유망하다. 

 

약재: 열매.근피 잎 모두 약재로 쓰이며 오래 복용하면 장수한다 하여 인기가 있습니다

 

쓰임새: 식용 차, 술로 널리 이용됨 

 

어린순 : 식용 또는 차의 원료로 사용된다.
열매 껍질은 약용(강장제)으로 쓰이며 햇볕이 잘드는 토심이 깊고 적윤한 사질양토에 적합하다

   능수화나 등나무 대치품목으로 파골라나 테라스, 조경공사로 쓰이기도 한다.

이미지 규격별 상품명 단가 수량 최소주문량 운송방법 품절/장바구니
구기자1년생 3,000
3
택배
품절
구기자 2년생 4,000
3
택배
품절
바로배송가능
구기자3년생 5,000
2
택배
품절
구기자결실주(3년)포트 12,000
2
택배
품절
Npay결제시 별도의 포장비가 청구되지 않아 포장비가 배송비로 청구됩니다!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상품상세정보



 

 

 

 

 

 

 

* 명칭 :구기자나무
* 분류 :가지과
* 성상/수형 :낙엽활엽관목, 수형: 포복형
* 학명 :Lycium chinense Mill.
* 원산지 :한국
* 향명 :구기,괴좃나무,지선,일본고치낭(제주),구기자(영남),?

수형



열매

가지
생육 및 생태
생육/분포지역 전국의 표고 100-700m 사이의 마을 주변에 야생상으로 재배하고 중국과 만주, 일본, 유럽에도 분포한다. (청양, 진도는 우리나라 주산지로서 유명하다.)
성상/수형 낙엽활엽관목, 수형: 포복형
개화/결실기 개화기:6~9월 결실기:8~10월
번식 삽목, 휘묻이, 분주, 종자 등 여러가지로 할 수 있으나 주로 삽목번식법으로 하고 있다.
▶꺾꽂이: 시기는 3~4월과 9~10월 경이 적기이나 대체로 봄에 실시한다. 꺾꽂이 순은 가을철에 꺾꽂이하는 경우 그해에 자란 새로운 줄기 중에서 조직이 굳은 연필크기 정도의 줄기를 선택하고, 봄철에 꺾꽂이 하는 경우에는 전년도에 자란 줄기를 선택하여 15~18cm의 길이로 잘라 꺾꽂이 한다. 꺾꽂이 후 가뭄이 계속될 때는 2-3일에 한번씩 물을 충분히 주어야 한다.
▶휘묻이: 여름 7~8월에 하는 것이 적당하다.
▶분주법: 10월 하순경에 포기를 완전히 캐내어 나누어 심는다.
생육환경 ▶부락 근처의 뚝이나 냇가에서 자란다. ▶햇빛이 잘 들고 토심이 깊고 보습성과 배수성이 좋은 비옥적윤한 사질양토에서 번성한다.
재배특성 꺽꽂이법, 포기나누기법, 휘묻이법, 파종법이 있으나 구지자는 꺾꽂이의 활착이 잘 되므로 노력 절감상 일반적으로 꺾꽂이법이 이용된다.
▶꺾꽂이
꺾꽂이 시기는 3-4월 또는 9-10월경이나 대체로 봄에 실시한다. 꺾꽂이순을 꺾꽂이하는 경우 그 해에 자란 새로운 줄기 중에서 조직이 굳은 것으로 연필 크기 정도의 줄기를 선택하고 봄에 꺾꽂이 하는 경우에는 전년도에 자란 줄기를 선택하여 15-18cm의 길이로 잘라서 120cm 나비의 모판에 2-3개의 눈이 땅위로 나오도록 하여 비스듬이 눕혀서 10cm간격으로 꽂는다. 꺾꽂이 후 가뭄이 계속될 때는 2-3일에 한번씩 물을 충분히 주어야 한다.
외형적 특성
크기 수고 4m 정도.
잎의 특징 긴 가지의 잎은 호생, 짧은 가지의 잎은 총생한다. 잎은 중앙이 넓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첨두 또는 둔두이며 넓거나 좁은 예저이고 길이 3~8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1cm정도로서 털이 없다.
꽃의 특징 꽃은 6월부터 9월까지 계속 피며 1-4개씩 잎처럼 액생하고 소화경은 길이 3-8(간혹 12)mm이며 꽃받침은 3-5개로 갈라지고 열편 끝이 뾰족하며 화관은 자줏빛이 돌고 길이 1cm정도로서 5개로 갈라진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수술대는 길고 털이 있다.
열매의 특징 열매는 길이 1.5-2.5㎝의 장과로서 난상 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8-10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열매를 구기자라고 한다.
가지/목피 원줄기는 비스듬히 자라면서 끝이 밑으로 처지지만 다른 물체에 기대어 자란 것은 높이가 4m에 달하고 가지에 가시가 흔히 있으나 없는 것도 있으며 밑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와 덩굴성처럼 자라고 수피는 회백색이며 소지는 황회색이고 털이 없다. 수피를 지골피라고 한다.
기타특징 20여년 전에 불로장수하는 강장강정제요 만병통치의 영약으로 큰 붐을 몰고왔던 기억에 새로운 약초이다.
이용가치 및 유사종
이용가치 및 용도 ▶정원 등에 소규모로 군식하거나 경계식재용으로 이용한다.
▶열매는 각종 성분을 함유하여 차나 술을 만든다.
▶과실은 拘杞子(구기자), 根皮는 地骨皮(지골피), 葉은 拘杞葉(구기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拘杞子(구기자) - ①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성숙한 것을 채취하여 음지와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구기자에는 carotene 3.39%, 비타민 B1 0.23mg%, 비타민 B2 0.33mg%, 니코틴산 1.7mg%, 비타민 C 3mg%를 함유하고 β-sitosterol, linoleic acid도 추출되었다. ③약효 : 滋補肝腎(자보간신), 益精明目(익정명목)의 효능이 있다. 肝腎陰虧(간신음휴), 腰膝酸軟(요슬산연), 頭暈(두운), 目眩(목현), 目昏多疾(목혼다질), 虛勞咳嗽(허로해수), 消渴(소갈), 遺精(유정)을 치료한다.
⑵地骨皮(지골피) - ①입춘이나 입추 후 채취하여 근피를 벗겨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근피에는 桂皮酸(계피산) 및 다량의 phenol類 물질, betaine이 함유되어 있다.
Betaine은 구기자나무의 잎과 과실에 함유되어 있지만 根皮 속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보고도 있다. 뿌리는 그 밖에 비타민 B1의 活性(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지만, 그 억제작용은 cystein 및 비타민 C에 의해서 解除(해제)된다. 지골피에는 이외에 β-sitosterol,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melissic acid 등도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凉血(양혈), 淸肺熱(청폐열), 退蒸勞熱(퇴증노열)의 효능이 있다. 쇠약피로에 의한 潮熱(조열)과 盜汗(도한), 肺熱(폐열)에 의한 咳喘(해천),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血淋(혈림), 消渴(소갈), 고혈압, 癰腫(옹종), 惡瘡(악창)을 치료한다. 五臟(오장)의 邪氣(사기), 熱中消渴(열중소갈), 周痺(주비), 風濕(풍습)을 치료하고 胸脇氣(흉협기), 客熱頭痛(객열두통)을 내리고, 內傷(내상)에 의한 쇠약피로에서 噓吸(허흡)하는 것을 補(보)하고 筋(근)을 단단하게 하며, 陰(음)을 强化하고 大小腸(대소장)을 利(이)하게 하며 寒暑(한서)를 견딜 수 있다.
⑶拘杞葉(구기엽) - ①구기자나무의 부드러운 줄기와 잎으로 봄과 여름에 채취한다. ②약효 : 補虛(보허), 益精(익정), 消熱(소열), 止渴(지갈), 祛風(거풍), 明目(명목)의 효능이 있다. 虛勞發熱(허로발열), 煩渴(번갈), 目赤昏痛(목적혼통), (장예-백내장 등), 夜盲(야맹), 崩漏帶下(붕루대하), 熱毒瘡腫(열독창종)을 치료한다.
병해충 및 방제
발생 병충해 탄저병: 구기자 병해중에서 가장 심하다. 이 병은 연중 강우량이 가장 많고 평균기온이 25℃전후인 7-8월에 발병이 심하며,10월 하순까지 계속 발병된다.
구기응애: 새 잎이 나기 시작하는 4월 하순부터 잎의 뒷면은 가해하여 벌레혹을 형성하며 아랫 잎부터 황록색으로 변하면서 낙엽이 된다.
열점잎벌레(돼지벌레): 새순의 발생과 동시에 잎과 손끝에 큰 치명상을 주는 벌레로서 몇일 간 방치해 두면 순과 잎을 갉아 먹는다.
담배나방: 연중 2-3차 발생된다.
진딧물: 연중 수차례 발생하는 해충을 구기엽과 열매가 떨어져 많은 손실을 보게된다.
방제방법 탄저병: 디포라탄 1,000배액을 장마 전과 직후에 뿌려 주거나 홀펫,안트라콜,다이센 M-45등을 예방 위주로 뿌려주는것이 가장 효과가 있다.
구기응애: 피해가 발견되면 니코풀,아미트유제 500-1,0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한다.
열점잎벌레: 약제로는 데시스
묘목은 수령후 규정상 3일이내 교환/환불이 가능합니다.
식재후 고사한 경우에는 관리상 문제로 교환/환불이 불가합니다.
구기자나무
구기자나..
공지사항
장바구니
농원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공지사항   |   문의게시판   |   모바일버젼
상호 :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키움농원
주소 : 29024. 충청북도 옥천군 동이면 옥천로 2234
대표 : 김문호 / 대표전화:043-732-5931
입금계좌(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키움농원) : 351-1195-5496-13(농협)
사업자등록번호 : 733-81-02223
통신판매번호 : 제2021-충북옥천-0124호
관리자이메일 : keewoom49@hanmail.net
개인정보 보호정책 담당자 : 김문호
팩스번호 : 043-733-5931

호스팅 서비스사업자 : 통큰아이

Copyright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키움농원. All Rights Reserved